'Server'에 해당되는 글 7건

  1. 2024.09.10 SSL인증서 JAVA CA인증서에 루트 인증서 추가하는 방법
  2. 2021.01.27 SSL인증서 변환
  3. 2020.12.17 Linux(cent os) teamview 설치하기
  4. 2020.01.22 Apache+Tomcat 연동후 SSL적용
  5. 2020.01.22 Apache v2.2 SSL설치 가이드
  6. 2013.10.17 Unable to read TLD "META-INF/c.tld" from JAR file
  7. 2012.06.19 tar 압축 풀기/하기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인증서를 전달해주며, 클라이언트는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인증서를 루트인증서저장소(cacerts)에 있는 루트인증서로 신뢰성 검증을 하게 됩니다. 이 때, 클라이언트의 루트인증서저장소(cacerts)에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인증서를 검증할 루트인증서가 없다면 신뢰성 검증을 할 수 없어서 통신이 불가능합니다. 

일반 인터넷망 환경에서는 이미 클라이언트 환경에 새로운 Root 인증서가 업데이트 되어, 별도의 작업이 불필요하지만,

폐쇄망 환경의 클라이언트나, JAVA를 이용한 API통신, Server-to-Server 통신 등을 하는 경우,

클라이언트 사이드에 새로운 Root 인증서 설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설치방법

클라이언트의 루트인증서저장소(cacerts)에 서버의 인증서를 발급한 인증기관의 루트인증서를 등록해야 합니다. 해당 루트인증서를 다운받거나 전달받은 후 아래의 명령어로 등록할 수 있습니다.

keytool -importcert -alias 등록할 별칭 -keystore JAVA_HOME/PATH/cacerts -file 루트인증서

예) keytool -importcert -alias Digicertroot -keystore cacerts -file DigiCert-Root-sha1.pem.cer

그리고 아래와 같이 등록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keytool -list -keystore JAVA_HOME/PATH/cacerts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SSL인증서 변환  (0) 2021.01.27
Linux(cent os) teamview 설치하기  (0) 2020.12.17
Apache+Tomcat 연동후 SSL적용  (0) 2020.01.22
Apache v2.2 SSL설치 가이드  (0) 2020.01.22
Unable to read TLD "META-INF/c.tld" from JAR file  (0) 2013.10.17

SSL인증서 변환

Server 2021. 1. 27. 19:43

1. PFX로 변환하기 (Windows IIS용)

# 1) CER/PrivateKey에서 PFX (CER to PFX)

openssl pkcs12 -export -in 인증서.cer -inkey 개인키.key -out 저장인증서.pfx -certfile CA인증서.cer

 

# 2) PEM/PrivateKey에서 PFX (PEM to PFX)

# let's encrypt certbot certonly로 발급받은 경우, 개인키도 privkey.pem파일로 되어있어 inkey에 pem파일로 넣음 (-inkey 개인키.pem)

openssl pkcs12 -export -in 인증서.pem -inkey 개인키.key -out 저장인증서.pfx

 

# 3) P7B에서 일단 PEM으로 변환후 2)적용 (P7B to PEM to PFX)

openssl pkcs7 -inform PEM -in 인증서.p7b -print_certs -text -out 저장인증서.pem

 

2. PEM으로 변환하기 (리눅스용)

# PFX에서 PEM으로 변환 (PFX to PEM)

openssl pkcs12 -in 인증서.pfx -nokeys -out 저장인증서.pem -nodes # 인증서

openssl pkcs12 -in 인증서.pfx -nocerts -out 저장키.key -nodes # 개인키

openssl pkcs12 -in 인증서.pfx -cacerts -nokeys --chine -out ca인증서.cer #CA인증서

 

# DER/CER에서 PEM (DER to PEM, CER to PEM)

openssl x509 -inform DER -in 인증서.der -out 저장인증서.pem

openssl x509 -in 인증서.cer -outform PEM -out 저장인증서.pem

 

# P7B에서 PEM으로 변환 (P7B to PEM)

openssl pkcs7 -inform PEM -in 인증서.p7b -print_certs -text -out 저장인증서.pem

 

3. 기타 변환

# PEM에서 DER 변환 (PEM to DER)

openssl x509 -outform DER -in 인증서.pem -out 저장인증서.der #인증서

openssl ras -in 개인키.pem -pubout -outform DER -out 저장개인키.der #개인키

 

# PEM에서 P7B 변환 (PEM to P7B)

openssl cr2pkcs7 -nocrl -certifile 인증서.pem -out 저장인증서.p7b -certfile CA인증서.cer

 

# PEM에서 P12 변환 (PEM to P12)

# PFX에서 각각 공개키, 개인키, CA인증서 추출한 것을 한 파일로 저장

openssl pkcs12 -export -in 인증서.pem -inkey 저장키.key -certfile CA인증서.cer -out 인증서.p12

 

4. 번들파일 합치기

cat ChainCA1.crt ChainCA2.crt RootCA.crt > Chain_RootCA_Bundel.crt

사실 가장 간단한 방법은 팀뷰어 홈페이지에서 리눅스 버전을 다운로드 받아 rpm설치하는것이다.

하지만 의존성문제로 실패하는 경우가 많아서 정리해 둔다.

 

1. GPG키 시스템을 가져옴

sudo rpm --import https://dl.tvcdn.de/download/linux/signature/TeamViewer2017.asc

2. epel저장소 활성화sudo yum install epel-release

 

3. rpm 다운로드

wget https://download.teamviewer.com/download/linux/teamviewer.x86_64.rpm

4. 설치

sudo yum localinstall ./teamviewer.x86_64.rpm

하고 gui의 인터넷에 팀뷰어를 실행하면 실행이 되야 정상이지만 난 실행이 되지 않았다.

여기저기 검색해본 결과 팀뷰어 커뮤니티에서 정보를 찾을수 있었다.

 

sudo yum update freetype-devel

만약 설치조차 안되어있을 경우는 설치로 진행하자.

sudo yum install freetype-devel

 

추가로 부팅시 자동실행옵션을 켜놔도 해당계정으로 로그인하지 않으면 접속이 불가능한거 같다.

(팀뷰어는 보안상 root계정으로 실행이 불가능)

gui의 설정->상세->사용자에서 로그인할 사용자를 선택.

root패스워드를 입력해서 잠금해제한 후 자동로그인을 체크

apache홈/conf/extra/httpd-ssl.conf

<VirtualHost *:443></VirtualHost>사이에 추가

JKMount /* worker1

 

apache홈/conf/workers.properties 설정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SSL인증서 변환  (0) 2021.01.27
Linux(cent os) teamview 설치하기  (0) 2020.12.17
Apache v2.2 SSL설치 가이드  (0) 2020.01.22
Unable to read TLD "META-INF/c.tld" from JAR file  (0) 2013.10.17
tar 압축 풀기/하기  (0) 2012.06.19

1. 인증서 설치

   apache홈/conf/extra/httpd-ssl.conf

   1) Listen 포트 설정

   - Listen 443

  2) 인증서 개인키 비밀번호

  - 수동입력시(서버재시작시 마다 입력창 나옴) SSLPassPhraseDialog builtin

  - 자동입력 Window

    SSLPassPhraseDialog "exec:c:/ssl/apache/ssl_pass.bat"

    ssl_pass.bat내용 @echo password

    (window경우 builtin으로 되어있을경우 오류발생. 반드시 설정필요)

  - 자동입력 Linux

    SSLPassPhraseDialog "exec:/ssl/aoache/ssl_pass.sh"

    ssl_pass.sh내용 exho "password"

    (ssl_pass.sh파일 권한 700필요)

 3) Virtual Host설정

    <VirtualHost *:443>

     DocumentRoot 문서파일위치

     ServerName 서버도메인

     ServerAdmin 서버관리자정보

     ErrorLog 에러로그경로/ssl_error_log

     TransferLog 에러로그경로/ssl_access_log

 

     SSLEngine On

     SSLCertificateFile "경로/인증서파일_cert.pem"

     SSLCertificateKeyFile "경로/개인키파일_key.pem"

     SSLCertifucateChainFile "경로/Chain_RootCA_Bundle.crt"

   </VirtualHost>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SSL인증서 변환  (0) 2021.01.27
Linux(cent os) teamview 설치하기  (0) 2020.12.17
Apache+Tomcat 연동후 SSL적용  (0) 2020.01.22
Unable to read TLD "META-INF/c.tld" from JAR file  (0) 2013.10.17
tar 압축 풀기/하기  (0) 2012.06.19

매번 발생하는 문제인데 기록을 안 해 놓으니깐 맨날 까먹는다... -_-;;
자.. 위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는 아래와 같은 경우이다... (다른 경우엔 다른 해결책을 찾아봐야 한다...)

1. maven으로 프로젝트를 사용한다.
2. 프로젝트에서 jstl을 사용한다.
3. 이클립스 서버 플러그인에 deploy해서 사용한다.

위와 같은 경우에 저 에러가 발생할 수 있는데 아주 환장할 노릇이다... -_-;;
일단 결론은 서버 플러그인이 병신 같은 짓을 해서 오류가 발생하는 건데...
(사용중인워크스페이스)\.metadata\.plugins\org.eclipse.wst.server.core 디렉토리에 가보면... (서버 플러그인이 사용하는 위치...)
만약 deploy 한 프로젝트가 하나 밖에 없다고 가정한다면..
tmp0\wtpwebapps\(프로젝트명)\WEB-INF\lib 디렉토리에 standard.jar 파일이 분명 있는데 저지랄하고 있으니 환장할 수밖에 없다...
이럴 때는 당황 및 삽질하지 말고 일단 해당 디렉토리에 jsp-api.jar 파일이 있는지 확인한 후 삭제하도록 한다...
(분명히 servlet-api.jar 도 있을테니 같이 삭제하는게 좋다...)

보통 maven으로 프로젝트를 하는 경우 컴파일을 위해서 jsp-api 및 servlet-api를 provided로 dependency를 추가해서 사용한다...
maven의 antrun 플러그인이나 war 플러그인을 사용해서 빌드한 결과물을 보면 lib 디렉토리에 해당 파일이 복사되지 않는다...
이건 dependecy의 scope가 provided로 되어 있으면 당연히 그렇게 되어야 하는 건데...
이 미친놈의 서버 플러그인이 다 쌩까고 lib 에다 싸그리 다 복사해제낀다... -_-;;
맨날 이거 때문에 쌩쑈를 했는데 이번에도 또 까먹고 쌩쑈했다...
이클립스 플러그인을 만들줄 알아야 수정을 하던가 할텐데 그건 내 능력 밖... -_-;;


 [출처] Unable to read TLD "META-INF/c.tld" from JAR file|작성자 죽빵에캔디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SSL인증서 변환  (0) 2021.01.27
Linux(cent os) teamview 설치하기  (0) 2020.12.17
Apache+Tomcat 연동후 SSL적용  (0) 2020.01.22
Apache v2.2 SSL설치 가이드  (0) 2020.01.22
tar 압축 풀기/하기  (0) 2012.06.19

tar 압축 풀기/하기

Server 2012. 6. 19. 10:06

압축 풀때

.tar확장자     tar xvf <파일명>
.tar.gz나.tgz확장자    
tar xvfz <파일명>

압축 할때

.tar확장자     tar cvf <파일명.tar> <압축할 폴더명>
.tar.gz나.tgz확장자   
tar cvfz <파일명.tar.gz> <압축할 폴더명>
                              tar cvfz <파일명.tgz> <압축할 폴더명>

압축하기 -c(create)
압축풀기 -x(extract)
압축 -z(없으면 압축하지않고 단순 묶음(tar))
퍼미션 -p(파일이나 폴더의 퍼미션까지 압축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SSL인증서 변환  (0) 2021.01.27
Linux(cent os) teamview 설치하기  (0) 2020.12.17
Apache+Tomcat 연동후 SSL적용  (0) 2020.01.22
Apache v2.2 SSL설치 가이드  (0) 2020.01.22
Unable to read TLD "META-INF/c.tld" from JAR file  (0) 2013.10.17
1 

글 보관함

카운터

Total : / Today : / Yesterday :
get rsstistory!